Dev/Network, Web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주요 기술 용어

헝그리둘기 2022. 12. 13. 11:16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장비에 고정으로 IP를 할당하지 않고, DHCP서버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장비(DHCP 클라이언트)에 IP를 배정해주는 프로토콜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한 스위치에 있는 인터페이스(포트)를 그룹으로 묶어 네트워크 대역을 분리하는 기술. A라는 PC와 B라는 PC가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자신과 다른 VLAN에 속한 IP와는 통신이 불가능하며, 엄연히 다른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통신하려면 L3 스위치나 라우터가 필요하다.

 

Trunk port

여러 VLAN에 다중으로 속해있는 인터페이스. 프레임에 붙은 태그로 어떤 VLAN에 속한 IP인지 확인

 

Access port

하나의 VLAN에 속한 인터페이스. 프레임에 태그가 붙어있어도 다른 VLAN과 통신 가능

 

Backbone

통신 상 트래픽이 집결해 이동하는 척추같은 중간계 스위치. 주로 L3스위치가 담당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다른 IP에게 요청을 보낼 때, IP주소는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장비에 부여된 고유한 MAC주소가 필요하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ARP request를 날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모든 인터넷장비의 MAC주소를 알아내 자신(요청을 보낸 네트워크장비)의 MAC주소 테이블에 기록하는 통신 프로토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주소를 다른 IP로 변환하는 기술. Source NAT는 출발지 주소를 변환, Destination NAT는 목적지 주소를 변환

 

PAT(Port Address Translation)

포트를 임의의 다른 포트로 변환하는 기술. 여러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포트에서 요청을 보냈을 때, NAT장비에서 임시로 포트번호를 변경하여 세션 테이블이라는 곳에 가지고 있다가, 응답이 오면 요청을 보냈던 클라이언트에게 정확한 응답을 보내주기 위해 사용

 

DSR(Direct Server Return)

요청은 클라이언트-L4스위치-서버로 받지만, 서버에서 응답을 리턴할때는 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바로 응답하는 One-Arm구조의 네트워크 구성. 응답이 스위치를 거치지 않으므로 부하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지만 스위치와 서버에서 설정을 바꿔줘야 해서 꽤 까다로 수 있음

 

AS(Autonomous System)

한 관리자(업체?)의 관리 대상이 되는 라우터의 집단

 

IGP(Interior Routing Protocol)

AS내부에 속한 라우터끼리 사용하는 프로토콜

EGP(Enterior Routing Protocol)

AS간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Broadcast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달.

메시지를 받은 모든 호스트는 CPU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작업

Multicast

특정 호스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

메시지를 받은 모든 호스트는, 메시지 내부에 있는 맥주소와 자신의 맥주소를 비교해 일치하면 메시지를 CPU에 전달, 자신의 맥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 호스트는 전달받은 메시지를 버림

Unicast

한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보냄.

메시지 내부에 있는 맥주소와 일치하는 호스트는 메시지를 CPU에 전달, 나머지 호스트는 메시지를 버림

 

Internet 전세계 모든 네트워크를 TCP/IP 프로토콜로 연결해 놓은 것

Intraternet 외부에서는 접근하지 못하게 지정해 놓은 내부 네트워크

Extraternet 특정 외부인이 접근할 수 있는 인트라넷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에 소속된 호스트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저장소. 작은 PC처럼 생겼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HDD같은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Loop

루핑이란 스위치 또는 브리지 간 연결된 링크(선)이 두 개 이상일 때, 한 호스트가 모든 링크에게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보내면, 각 링크는 보낸 호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링크로 패킷을 전달하고, 받은 링크는 또다시 나머지 링크로 패킷을 전달하며 무한 루프에 빠지는 현상이다. 루핑이 발생하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

 

Spanning Tree Algorithm

루핑을 방지하기위해 스위치에 세팅된 알고리즘. 루핑이 일어날만한 링크를 찾아서 한개의 링크를 제외하고 나머지를 차단시켜놓고, 액티브 링크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스탠바이하고있던 다른 링크를 활성화상태로 만드는 기능이다. 이 기능 덕분에 스위치 간 링크를 여러개 연결해놔도 한 링크만 사용하지만, HA(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한 호스트가 랜(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뿌리는 시점에 다른 호스트에서도 랜으로 보낸 통신요청(Multiple Access)이 있는지 감지하고, 요청이 없다면 보내는 방식이다. 만약 두개 이상의 호스트가 동시에 통신요청을 해서 충돌(Collision)이 난다면, 자동으로 임의의 시간을 지정해 그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요청을 한다.

랜이 허브를 통해 구성되어있다면 해당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 중 단 두대씩 끼리만 통신이 가능하기때문에, 한 허브에 너무 많은 호스트를 연결하면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데, 이를 콜리전(충돌) 도메인을 공유한다고 표현한다. 이 콜리전 도메인을 여러개로 분리해주는 장비가 데이터링크 계층의 브리지와 스위치이다.

 

Ethernet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랜카드 종류에는 이더넷방식과 토큰링 방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