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레포지토리를 clone하거나, pull / push 등 remote에 접근 시
아이디(이메일)와 비밀번호(*PAT)를 입력하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나는데, 매번 입력해주기 참 귀찮다.
git bash에서 자신의 OS에 맞게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 Windows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wincred
# Mac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osxkeychain
아래 명령어 입력 시 해당 위에서 저장한 내용이 나타난다.
git config --global --list
각 OS에서 지원해주는 키체인을 이용하는 방식인데, 위 설정이 끝난 후 git 작업 시 최초 한번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후부터는 더이상 물어보지 않는다.
*PAT (Personal Access Token)
개인보안토큰. 깃랩에서 Two-Factor Authentication (2FA) 2단계 인증 상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는, 토큰을 발급해 비밀번호처럼 사용해야 한다.
깃랩 Edit profile > Access Tokens 메뉴에서 아래 화면과 같이 토큰을 생성해주면, 노란색 밑줄친곳에 토큰이 발급되고, 해당 토큰을 복사해서 메모장에 저장해두고 필요할때마다 사용하면 된다.
'Dev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bash 커맨드 정리 (0) | 2022.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