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Git

[GIT] Git bash 커맨드 정리

환경: Windows10, git 2.26.2.windows.1

 

0. git init : git 사용하려면 디렉토리에서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 폴더가 생성됨

1. git status : 이전 커밋과 비교해서 현재 변경된 파일 표시 (add 명령으로 스테이징된 파일(녹색)과 스테이징되지 않은 파일(붉은색) 표시)

2. git diff : 변경된 코드 표시

3. git add [A] : 커밋할 파일을 스테이징하기 [A: 파일경로, *이나 .입력 시 전체 스테이징]

4. git commit -m "[A]" : add명령어로 인해 스테이징에 올라간 파일들을 커밋하기 [A: 커밋 메시지]

5. git push origin [A] : 원격(리모트) 저장소에 커밋한 코드를 푸시하기 (업로드) [A: 푸시할 브랜치명.생략 시 현재 브랜치]

6. git fetch origin -v :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소스를 내려받기

7. git pull origin : 원격 저장소에서 현재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내려받아 머지까지 수행

8. git merge [A] : 현재 브랜치에 지정한 브랜치 병합 [A: 브랜치명]

9. git branch : 브랜치 전체 리스트 {-a: 원격 저장소 브랜치까지 모두 표시}

10. git branch [A] : 브랜치 생성 {-d: 브랜치 삭제, -D: 브랜치 강제 삭제} [A: 브랜치명]

11. git checkout [A] : 브랜치 이동 {-b: 브랜치 생성과 동시에 이동}, [A: 브랜치명]

12. git log : 커밋 기록 보기 {--oneline: 한줄로 간략히 보기, --graph: 계층별?그래프식으로 보기}

13. git clone [A] : 원격 저장소를 통째로 복제 [A: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14. git remote add [A] [B] : 현재 디렉토리에서 원격 레포지토리 연결 [A: 원격 레포지토리 이름(보통 origin으로 표기)] [B: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15. git reset : add로 스테이징된 파일 언스테이징, {--soft: 커밋만 리셋, --hard: 커밋과 커밋내용(코드)까지 리셋}

16. git rm -r --cached [A] : 한번 원격에 올라간 이후 관리대상에 포함되어 추적되고 있는 파일을 언트래킹 (추적 캐시 제거) [A: 파일경로(.입력 시 전체)]

17. git revert [A] : 커밋 내용을 복구한 내용을 커밋 [A: 커밋해쉬]

18. git cherry-pick [A] : 특정 커밋만 머지 [A: 커밋해쉬]

19. git fetch origin --prune : 리모트 저장소의 브랜치와 로컬 브랜치 동기화

20. git cherry-pick [A] [B] [C] : 특정 커밋 다중 머지 [A, B, C: 커밋해쉬]

22. git cherry-pick [A]^..[Z] : 커밋 범위 머지 [A: 시작 커밋해쉬] [Z: 종료 커밋해쉬]

 

도움됐던 깃 시뮬레이터 : 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