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36)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주요 기술 용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장비에 고정으로 IP를 할당하지 않고, DHCP서버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장비(DHCP 클라이언트)에 IP를 배정해주는 프로토콜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한 스위치에 있는 인터페이스(포트)를 그룹으로 묶어 네트워크 대역을 분리하는 기술. A라는 PC와 B라는 PC가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자신과 다른 VLAN에 속한 IP와는 통신이 불가능하며, 엄연히 다른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통신하려면 L3 스위치나 라우터가 필요하다. Trunk port 여러 VLAN에 다중으로 속해있는 인터페이스. 프레임에 붙은 태그로 어떤 VLAN에 속한 IP인지 확인 Access por..
[브라우저] 크롬 버전 다운그레이드 및 자동 버전 업그레이드 비활성화 방법 PC환경: Windows 10 크롬은 자동으로 최신버전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하지만 최신 크롬과 호환되지 않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크롬을 특정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고 자동 버전업을 중단시키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1. 모든 크롬브라우저 실행 종료 2. 앱 및 기능에서 크롬 제거 3. 아래 사이트 등에서 원하는 크롬버전 다운로드, 설치 https://chrome.softwaredownload.co.in/windows/windows-10 https://www.slimjet.com/chrome/google-chrome-old-version.php 4. 윈도우 실행기 (Win+R) 에서 control schedtasks 실행, GoogleUpdateTaskMachineCore과 Go..
[MQ] RabbitMQ Publish Subscribe 예제 RabbitMQ설치서버(로컬PC) 환경: Windows10, RabbitMQ 3.9.13, jdk1.7.0_80 예제 패키지 환경: SpringBoot 2.6.3, jdk1.8 프로젝트에 메시지를 목적지까지 전달해주는 메시지 브로커(집배원)를 적용해야 할 일이 생겨 RabbitMQ를 선택했고 학습을 위해 간단한 Publish / Subscribe 구조의 예제를 만들어 보았다. https://www.rabbitmq.com/ 공식 홈페이지에 설치방법은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튜토리얼이 잘 나와있다. 예제 코드를 보기 전에 큐에 메시지를 담고 꺼내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1. publisher가 메시지를 어떤 큐로 보낼지 결정하는 라우터의 역할을 하는 exchange에게 메시지 전송 2. exchang..
[Network] 네트워크 대역폭 Bandwidth 우리는 인터넷을 신청할때 SK, KT, LG같은 ISP (인터넷제공회사) 의 광고를 보고 구매한다. 그들은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고 광고하며 100메가, 500메가, 1기가 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당연히 용량이 큰게 비싸고 빠르겠지..근데 왜 빠른걸까?? 사실 이 용량이라는 것은 직접적으로 네트워크의 '속도'를 의미하진 않는다. 100Mbps의 의미는 초당 최대 100메가비트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대역폭은 데이터가 이동할 때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지가 아니고, 1초당 얼마나 많은 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느냐를 뜻하는 단어이다. 실제로 대역폭에 따라 랜선의 굵기가 다르진 않지만, 대역폭이 크면 랜선의 굵기(데이터 이동 통로)가 굵다고 생각하면 쉽다. 일상적인 비유를 하..
[Network] ICMP 프로토콜 ping, traceroute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 속하는 ICMP프로토콜을 사용하는 ping, tracert 명령어는 네트워크 오류나 라우팅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윈도우, 리눅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 ping ip주소or도메인 (-t 수동 종료시까지 계속 핑을 날림) : 해당 주소로 메시지를 보내 응답이 자신에게 잘 돌아오는지와 얼만큼의 시간이 걸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결과 중 TTL(Time to Live)은 OS와 장비 등에 따라 기본값이 다르다. 해당 주소까지 가는데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TTL기본값에서 -1씩 차감된다. 예를들어, 현재 PC에서 TTL기본값이 128이고 특정 주소까지 가는데에 5개의 라우터를 거쳤다면 ping 결과의 TTL은 123으로 나올 것이다. 라우터를 너무 많이 거쳐 T..
[Network] 도메인? DNS? 도메인==웹사이트 주소? 에 대한 답은, 반만 정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컴퓨터의 논리적 주소는 IP 주소이고, 이는 172.217.171.196 같은 숫자 형태이다. 그러므로 어떤 컴퓨터(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브라우저 주소창에 IP주소가 아닌 문자열로 된 주소를 입력한다. 왜냐하면 사이트마다 IP주소를 다 외우고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인데, 이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이다. 도메인 시스템의 원리를 간단히 요약하자면, DNS Server(네임서버)라는 곳에서 도메인(문자열)이 실제로 어떤 IP(숫자)인지 파악해 저장해두고 있다가, 도메인명으로 요청이 들어오면 IP주소로 바꿔 요청을 ..
[Network] Cookie, Session 쿠키와 세션 쿠키 Http통신은 연결을 요청하고 끝나면 바로 끊어버리는 비연결성, 무상태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매번 파라미터에 동일한 데이터를 담아 요청해야 한다. 이런 비효율적인 리소스 낭비를 막기 위해 쿠키라는것이 존재한다. 최초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무언가를 요청하면, 서버는 응답 헤더에 쿠키라는것을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에 이 쿠키를 계속 저장해두고, 동일한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마다 요청 헤더에 자신이 저장해둔 쿠키를 담아 함께 전달한다. 쿠키에 담기는 데이터는 key-value 형태의 텍스트로 저장되고, 쿠키의 만료시간과 목적지 서버 정보 등이 포함된다. 브라우저에 쿠키를 보관해 놓은 덕분에 우리가 해당 페이지에서 이탈하거나, 브라우저를 닫..
[Network]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 IP주소는 10진수 네자리, 즉 x.x.x.x 의 형태이다. 이 10진수로 이루어진 IP주소를 8자리의 2진수로 바꾸면 0과1로 이루어진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형태의 총 32비트 숫자가 되는데, 점(.)을 기준으로 각 8자리씩을 묶어 옥텟(Octet)이라고 부른다. IP주소는 네트워크ID+호스트ID 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ID는 국가, 도시, 부서 등을 나타내는 특정 그룹, 그리고 호스트ID는 그 그룹에 속한 통신장비(PC, 휴대폰 등)라고 생각하면 된다. IP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클래스라는게 존재하는데, 종류는 아래와 같다. A클래스: IP주소 32비트 맨 앞이 0으로 시작, 앞쪽부터 8자리가 네트워크ID, 뒤 24자리가 호스트ID, 디폴트 서브넷 ..